"韓 경제의 희망, 기업서 찾아야 발빠른 통상외교로 수출 뒷받침"
2024-12-31 IDOPRESS
트럼프,바이오산업 혁신 공언
바이오시밀러 공략 나설 적기
우크라 재건사업에 적극 참여
러 수출 뚫는 것도 좋은 모멘텀
◆ 2025 신년기획-위기,대변혁 기회로 ◆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는 매일경제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의 희망을 기업에서 찾아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이 수출처를 다변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통상외교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응급처방과 구조적 혁신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조언이다.
―지금 한국 경제 상황은 재정지출과 통화정책만으론 역부족인 것 같다.
▷기업 실적이 핵심이다. 과거 우리 기업들은 어떤 상황에도 민첩하게 대응해왔고,저력도 있다. 우선 트럼프 2기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대미 수출 주력인 자동차 산업은 전혀 문제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거점이 탄탄하고,트럼프가 관세 25%를 매기겠다고 한 멕시코에는 다행히 생산공장이 많지 않다. 2차전지 산업도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혜택을 전혀 못 받은 터라 손해 볼 게 별로 없다.
오히려 미국이 관세로 중국을 세게 때려주면 미국 시장에서 경쟁하기 쉬우니 기회를 찾을 수도 있다.
―혹시 기대되는 산업 분야가 있나.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트럼프는 보험사와 제약사 간 카르텔 구조를 깨 바이오산업을 혁신하겠다고 공약한 것이 있다.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을 낮추는 게 핵심인데,바이오시밀러 시장이 커질 전망이어서 한국 바이오산업에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수출 주력인 반도체 산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데.
▷미·중 갈등 구도에서 한국 반도체 산업이 그동안 누려온 반사이익이 사라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구조로 바뀌고 있다. 우리가 미국,중국을 각각 상대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는 얘기다.
어느덧 중국은 반도체 가치사슬(밸류체인) 모두를 거느린 세계 유일의 국가가 됐다. 또 D램 분야에서 우리를 맹추격하면서 D램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발 산업공동화까지 진행돼 미국 내에 생산거점을 마련하려는 우리 반도체 기업들의 비용이 늘고 있다.
전 세계 반도체 수요가 여전하니 올해 더 악화될 일은 없을 것이지만,이런 상황에서 정말 어려워지는 것은 반도체 생태계 내에 있는 중소기업과 국민이다. 이들 중소기업과 국민은 내수에 의존하는데 미국 내 생산 물량은 늘고,한국 내 생산 물량은 줄어들면서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된다는 게 우려스럽다.
―위기를 기회로 바꿀 전략은 없을까.
▷불행 중 다행인 것은 우리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건으로 중국에 보복을 당하면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탈중국을 서둘렀다는 점이다. 반도체,배터리,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외에 중국 내 한국 기업 공장은 이제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독일은 상황을 안일하게 판단하고 중국 내 자동차 공장을 계속 돌리다 현재 국가경제 전체가 중국의 볼모로 잡혀 추락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는 미국이 주도하는 공급망 재편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만큼 기회를 모색할 여지가 있다. 다만 미국,중국에 편중된 수출처를 다변화하는 건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꼭 풀어야 할 숙제다.
트럼프가 취임하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일단락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악의 침체를 맞고 있는 건설업계가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 또 전후에 러시아와 서방 간 관계 회복이 요원한 만큼 러시아 시장 공략에도 발 빠르게 나서야 한다. 러시아가 기댈 나라가 많지 않다. 러시아 수출이 뚫리면 한국 경제의 좋은 모멘텀이 될 것이다.
이근 교수
△서울대 경제학과 △미국 UC버클리대 경제학 박사 △영국 애버딘대 경제학과 교수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서울대 경제연구소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슘페터상 수상(2014년)
[오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