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FLNG 표준모델 개발해 국제 인증

2025-05-07 IDOPRESS

2023년 연안용 이어 심해용까지


FLNG 설비 라인업 갖춰


퍼스트 무버로 초격차 유지

5일(현지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해양기술 박람회에서 삼성중공업 장해기 기술개발본부장(부사장)과 토르게이르 스테리 DNV 수석 부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이 심해용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MLF-O) 표준모델을 개발해 글로벌 인증을 받았다.

삼성중공업은 5일(현지 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8일까지 열리는 해양기술 박람회(OTC 2025)에서 노르웨이(DNV),영국(LR),미국(ABS) 선급으로부터 MLF-O에 대한 기본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OTC는 세계 최대 규모 해양 플랜트 산업 전시회로 전 세계 조선 해양 분야 기업이 참가해 신사업과 최첨단 해양 기술을 공유하는 행사다.

액화천연가스(LNG)는 액체 상태로 저장돼 파도처럼 출렁이는 슬로싱 현상이 발생한다. MLF-O는 2개열로 화물창을 구성해 슬로싱으로부터 내부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됐다. 파고 평균 9m 이상의 심해 지역 LNG 생산에 최적화돼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23년에도 연안용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표준모델 ‘MLF-N’을 개발한 바 있다. 파고 평균 2m 이하 연안 지역에 맞게 설계된 LNG 생산 설비다.

이번 MLF-O 인증으로 삼성중공업은 근해와 심해에 최적화된 LNG 생산 설비 표준 모델 라인업을 완성하게 됐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MLF는 LNG 화물창과 선체를 규격화함으로써 화물창 용량을 기본 18만㎥에서 최대 22만㎥까지 손쉽게 늘릴 수 있는 유연성을 자랑한다”며 “FLNG 표준 모델인 MLF는 육상 플랜트에 비해 납기가 빠르고 경제적인 효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중공업은 앞으로 표준화,유연성,고효율을 장점으로 하는 MLF-O와 MLF-N을 필두로 다수 해외 가스전 개발사업 프로젝트 수주에 나설 계획이다.

장해기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장(부사장)은 “MLF-O는 운영비를 최소화하고,납기를 혁신적으로 줄여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혁신 솔루션”이라며 “FLNG 시장에서 퍼스트 무버로서 초격차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심해용 FLNG 표준모델 MLF-O 이미지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 Digitalinfo.co.kr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