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결국 15개 점포 닫는다…희망자 무급휴직도

2025-08-14 HaiPress

긴급 생존경영 체제 돌입 선언


임대료 조정 안 된 매장 문 닫아


본사 직원 대상 무급휴직 시행

홈플러스. (사진=연합뉴스) 홈플러스가 15개 점포를 차례로 폐점하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자 무급휴직을 시행하기로 했다. 기업회생 절차를 개시하고 5개월이 지났지만 경영 환경이 개선되기는커녕 자금 압박이 커져 고강도 자구책을 가동하기로 결정했다.

13일 홈플러스는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가 내놓은 자구 방안에는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의 순차적 폐점 △본사 임직원 대상 무급 휴직 시행 △회생 성공 시까지 임원 급여 일부 반납 조치 등이다. 홈플러스는 인가 전 인수합병(M&A)이 성사될 때까지 이 같은 자구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폐점 대상 점포는 △시흥점 △가양점 △일산점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원천점 △화성동탄점 △천안신방점 △문화점 △전주완산점 △동촌점 △장림점 △부산감만점 △울산북구점 △울산남구점 등 15개다. 계획대로 폐점이 진행될 경우 홈플러스 점포는 102개로 줄어든다. 홈플러스는 회생 개시 후 68개 임대 점포의 부동산 리츠·펀드 운용사들과 임대료를 30∼50% 깎아달라는 협상을 진행해왔다.

홈플러스가 이런 고강도 자구책을 내놓은 건 법정관리 체제로 전환한 지 5개월이 지났지만 경영환경이 나아지지 않았고 자금 압박도 심각해졌기 때문이다. 홈플러스는 3월 회생절차가 개시된 뒤 전국 매장의 영업을 유지해왔고 임직원 고용을 유지하면서 납품 대금도 정상적으로 지급해왔다. 그러나 법정 관리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신뢰도가 하락했고 이에 따라 일부 대형 납품업체가 정산 주기를 단축하거나 거래 한도를 축소하고 선지급과 신규 보증금 예치를 요구하는 등 현금 유동성이 악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이날 전 임직원에게 메시지를 보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 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알렸다.

홈플러스는 이번 위기가 민생경제와 고용안정에 직결되는 문제라며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다. 홈플러스는 최근 정부가 지급한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대형마트가 배제되며 매출 감소 폭이 확대돼 유동성 압박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홈플러스 노조는 점포를 폐점하기로 한 사측 결정에 반발했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자구 노력 없이 회사를 쥐어짜고 있다”며 “점포를 분할 매각하지 않고 통매각하겠다고 발표한 약속을 뒤집었다”고 비판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 Digitalinfo.co.kr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