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신세계 30주년…지역 브랜드 전국화·사회공헌 성과

2025-08-25 HaiPress

30년간 일자리 창출·로컬브랜드 판로 지원 성과


장학·환경·문화예술 후원 등 지역 상생 활동 강화

광주신세계 전경. 국내 유통 대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현지법인으로 출발한 광주신세계가 25일 개점 30주년을 맞아 호남권 대표 유통기업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1995년 8월 25일 문을 연 광주신세계는 지난 30년 동안 지역민 고용 창출과 로컬 브랜드 판로 지원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했다.

광주신세계에 따르면 개점 이후 ‘운현궁’,‘스폴’,‘키친205’,‘바리에’ 등 지역 브랜드가 전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했다. 이밖에 ‘궁전제과’,‘육각커피’,‘다르다김밥’ 등 지역 기반 업체도 입점시켜 소상공인 성장 모델을 만들었다.

사회공헌 활동도 꾸준히 이어왔다. 개점 이후 지금까지 3천여 명에게 35억 원 규모의 장학금을 지원했으며,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결손아동 지원 사업을 통해 800여 명의 아동이 혜택을 받았다. 임직원이 직접 참여하는 ‘사랑의 S-BOX’,김장 나눔,희망산타 활동 등도 매년 진행되고 있다.

환경 분야에서는 에코 플로깅과 광주환경운동연합과의 협력 활동,농성광장 ‘죽봉 김태원 의병장’ 동상 주변 정화 활동 등 지역 친환경 캠페인을 펼쳐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한국ESG기준원의 ESG 평가에서 2년 연속 A등급을 획득했다.

문화예술 후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광주신세계미술제와 신세계갤러리 운영을 통해 지역 신진 작가 발굴을 지원했으며,광주비엔날레를 30년간 꾸준히 후원해 누적 후원금액이 19억 원에 이른다.

광주신세계는 최근 MZ세대를 겨냥한 ‘플레이스팟’과 다양한 팝업스토어를 선보이며 쇼핑과 문화를 결합한 공간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지난해 호남권 최초로 ‘티파니’를 유치했고,올해는 ‘프레드’를 신규 입점시키는 등 글로벌 브랜드 유치에도 나섰다.

이동훈 광주신세계 대표는 “현지법인으로 시작해 지역민의 사랑과 관심으로 성장해 온 향토기업이 30주년을 맞았다”며 “앞으로도 지역 대표 백화점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저작권 Digitalinfo.co.kr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