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이 불면, 우리 인생을 돌아보는 가곡 속으로
2024-10-22 HaiPress
獨피아노 거장 하르트무트 횔
한경성과 듀오 음반 '달빛에게'
"간절히 기도하며 부른 노래"
영국 테너 이언 보스트리지
슈베르트 연가곡 '겨울 나그네'
25일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서
"100번 불러도 매번 다른 음악"
수록곡을 직접 연주하는 피아니스트 하르트무트 횔과 소프라노 한경성. 인아츠프로덕션
짙어가는 가을 정취에 어울리는 가곡 음반과 공연이 잇따르고 있다. 가곡은 시에 운율을 붙인 성악곡이다. 200여 년 전,베토벤과 그에게서 영향을 받은 슈베르트가 많은 곡을 남겨 자리 잡았다. 독일 말로는 '리트'다.
지금의 우리에겐 번성한 시기도 지역도 노랫말도 멀게 느껴지지만,곡이 품고 있는 깊은 인간 내면에 대한 성찰은 시대와 문화를 막론하고 공감대를 끌어내왔다. 사색의 계절에 가곡이 특히 잘 어울리는 이유다.
이달 가곡 듀오 음반 '달빛에게'를 낸 독일 피아니스트 하르트무트 횔과 한국 소프라노 한경성은 '달'에 관한 이야기에 주목했다. 하르트무트 횔은 전설적인 독일 바리톤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의 고정 파트너로 유명한 실내악·반주계 거장이다. 2007년부터 독일 카를스루에 국립음대 총장을 역임하는 등 독일 가곡에 정통하며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한경성 역시 횔과 사제 간이다.
음반 발매를 기념해 만난 한경성은 "이번 음반에 제작자로 참여한 남편이 코로나19 시기에 투병 생활을 하며 힘든 시간을 이겨냈다"며 "그때 함께 늦가을 밤하늘의 달을 보며 간절하게 기도하고 노래를 부르면서 그 아름다움을 음반에 담게 됐다"고 소개했다.
가곡에는 유독 달이나 밤을 주제로 한 곡이 많은데,그중에서도 달은 '그리움'과 연결된다. 횔은 "독일어에서 '그리움'(sehnsucht)이란 단어는 열망,중독 등을 내포하는 가볍지 않은 뜻이다. 결코 벗어날 수 없는 고통을 동반한다"고 설명했다. 한경성과 횔은 한국 노래 '반달'(작사·작곡 윤극영),'가을밤'(작사 이태선,작곡 박태준) 등 두 곡도 음반에 담았다.
슈베르트 '겨울나그네'를 선보이는 이언 보스트리지(왼쪽)와 랄프 고토니. 서울국제음악제
찬바람이 불면,무대에선 슈베르트 연가곡 '겨울 나그네'를 만날 수 있다. 슈베르트가 빌헬름 뮐러의 시집 '겨울 여행'에서 발췌해 24개 노래로 만든 작품으로,실연의 아픔을 겪고 고독한 방랑길에 오른 한 청년의 절망과 죽음,희망과 삶에 관한 이야기다. 생전 600여 개의 가곡을 지어 '가곡의 제왕'으로 불리는 슈베르트의 작품 중에서도 위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슈베르트는 1827년 이 작품을 완성해 발표하고 이듬해 가난 속에 세상을 떠났다.
올해 국내 무대에선 먼저 세계적 거장인 영국 테너 이언 보스트리지와 핀란드 출신 피아니스트 랄프 고토니의 연주로 23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25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만날 수 있다.
공연을 앞두고 21일 서울 서초동에서 만난 이들은 "100번도 넘게 '겨울 나그네'를 연주했지만 그때마다 다르다"고 강조했다. 고토니는 "국적에 상관없이 사람이라면 누구나 힘든 순간이 있기에 공감하기 쉬운 노래"라고 소개했다. 그는 "곡의 주인공이 끝내 자살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삶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왜 우리가 우리인지'를 묻는 곡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사랑받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인문학 박사 출신인 보스트리지 역시 이 작품에 관해 책을 썼을 정도로 애정이 각별하다. 그는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예술 작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했다.
매번 달라지는 작품에 대한 해석을 묻자 보스트리지는 "의미보다는 그저 음악과 나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고토니와 나도 서로의 음악을 들으면서 뭔가를 만들어낼 뿐 말로 하지 않아요. 작품을 아주 잘 알게 되면 그 안에서 자유로워지는데,작품 밖에 서서 설명하는 것과는 다르죠. 심지어 공연 중에도 새로운 발견을 하기도 합니다. 결국 노래 안에서 끝없는 여정을 하는 거예요."
이들 공연 이후로 '겨울 나그네' 무대는 국내외 다양한 연주자의 조합으로 줄줄이 이어진다. 이달 26일 성남아트센터에선 피아니스트 마리아 조앙 피레스와 바리톤 마티아스 괴르네가 연주한다. 이어 11~12월 베이스바리톤 한혜열,베이스 연광철,테너 김세일·김석철 등의 무대도 예정돼 있다.
아무리 명곡이라도,가곡 공연은 진입 장벽이 높은 편이다. 가사가 독일어인 데다,오페라·관현악 연주 등 볼거리가 있는 공연에 비하면 무대 구성이 정적이다. 연주자들은 '그저 음악을 느끼라'고 입을 모았다. 한경성은 "가곡은 우리 인생사와 다르지 않다"고,횔은 "연주가 단순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아주 많은 색깔이 있다. 두 명의 아티스트가 나누는 대화"라고 했다. 보스트리지도 "관객이 독일어를 모르더라도 우리가 무대에서 몰입해 연주하면 그 감정을 함께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정주원 기자]